모두가 부러워하는 삶을 살아가는 완벽한 커플 닉&에이미.
결혼 5주년 기념일 아침, 에이미가 흔적도 없이 실종된다.
유년 시절 어린이 동화 시리즈 ‘어메이징 에이미’의 실제 여주인공이었던 유명인사 아내가 사라지자, 세상은 그녀의 실종 사건으로 떠들썩해진다.
한편 경찰은, 에이미가 결혼기념일 선물로 숨겨뒀던 편지와 함께 곳곳에서 드러나는 단서들로 남편 닉을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한다. 미디어들이 살인 용의자 닉의 일거수일투족을 보도하기 시작하고, 시간이 갈수록 세상의 관심이 그에게 더욱 집중된다.
과연 닉은 아내를 죽였을까? 진실은 무엇일까? <영화 소개에서 인용>
"셔터 아일랜드" 이후 추리소설 원작 영화로는 가장 큰 흥행 및 비평적인 성공을 거둔 영화이지요. 진작부터 관심이 있었지만 이제서야 감상하게 되었습니다.
영화는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뉩니다. 에이미가 장기간에 걸친 완벽한 계획으로 남편 닉을 구렁텅이로 빠트리는 과정이 1부, 그리고 그 사실을 에이미 시점으로 드러내면서 에이미가 도주 중 자금을 강도에게 털린 뒤 옛 애인 데시를 만났다가, 데시를 죽이고 다시 닉에게 돌아오는게 2부입니다.
이 중 1부의 악녀 에이미의 완벽한 계획이 굉장한 볼거리입니다. 이 정도로 치밀하면 정말 벗어나기 힘들겠다 싶을 정도로 꽉 짜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남편의 동기를 장기간에 걸쳐 만드는 과정과 사건 현장의 조작이 대표적이에요. 그 외에도 동네 임산부와 의도적으로 친해진 후 임신했다는 거짓말을 조작하는 생전 처음 보는 트릭이 등장하기도 하고, 별로 대단하지는 않지만 나름의 보물찾기 암호 트릭이 등장하는 등 추리적으로 꽤 풍성합니다. 에이미가 데시를 죽이는 과정도 즉흥적이지만 탄탄하게 짜여져서 만족스러웠습니다.
1부의 내용 전개가 현재 시점은 모두 닉, 그리고 과거에 있었던 일들의 회상은 에이미 시점으로 그려지는데 1부 종료 시점에 과거 회상은 모두 에이미가 창작한 가짜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는 것도 특이했습니다. 일종의 서술트릭인데 상당히 잘 만들어져 있어요.
그리고 에이미의 남편인 닉이 "악마같은 여자"의 찐따처럼 허술하지 않고, 나름 똑똑한 친구로 대결 구도를 형성하여 극적 긴장감을 더해주는게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특히 가장 위험한 순간, 즉 자신이 범인으로 전미에 알려지는 상황에서 불륜 사실이 폭로된 직후, 전국 방송 인터뷰를 자처하여 에이미가 원하는 완벽한 모습을 연기해서 에이미가 자기에게 돌아오게 만드는 과정이 백미입니다. 턱에 손을 가져다 대는 제스처도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에이미가 돌아온 뒤의 에필로그, 종반부도 상당히 괜찮아요. 위선과 조작으로 점철된 부부생활 연기를 계속한다는 것인데 이것을 하게 만드는 설득력이 장난이 아니거든요. 사는 게 지옥이라는 현실이 절절하게 와 닿기도 하고요. 이런 상황을 뒷받침하는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심리 묘사도 명불허전입니다. 이 감독 영화는 어딘지 모르게 불편하고 불안한 감정을 전해 주는데 이 영화 역시 마찬가지로 보는 내내 조마조마,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감상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아주 뛰어난 드라마냐 하면 그렇지만은 않아요. 애초에 동기 자체가 싸이코 에이미의 집착에 기인하고 있어서 설득력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지는 않은 탓입니다. 가장 이해가 안 되는 게 와이프가 예쁘고 똑똑한 데다가 돈까지 많다면, 나를 완벽하게 컨트롤하려 한 게 그리 큰 문제일까요? 저 같으면 죽으라면 죽는 시늉이라도 했을 거예요. 게다가 와이프와 멀어졌다고 제자와 불륜이나 저지르다니, 솔직히 죽어도 싼 놈이라고 생각됩니다.
에이미의 처음 계획 역시 그녀가 과연 자살하려 했는지도 의문이고, 자살할 생각이었다면 데시를 죽이는 상황처럼 닉을 죽이고 자살하던가 경찰에 신고하는 게 훨씬 쉽고 깔끔했을 겁니다. 이렇게 일을 벌일 필요는 없었어요. 또 우연에 가까운 강도 사건만 없었더라도 어떻게 되었을지 모른다는 점에서 완벽한 계획인지도 잘 모르겠더라고요. 데시에게 납치되었다는 상황을 자작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그리고 이건 문제라고 하기는 좀 뭐한데 1부에서 과거 이야기는 모두 에이미가 창작한 가짜입니다.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닉이 주장하는 에이미의 문제와 부부 간의 불화는 제대로 설명되지 않고 끝나버립니다. 부부 관계가 도대체 어땠길래 남편을 사형시키고 자살할 생각까지 했는지는 알 수 없어서 조금 답답했습니다.
아울러 배우진도 좀 아쉽습니다. 아카데미 위너 벤 애플렉은 꽤 괜찮았지만 에이미 역의 로자먼드 파이크는 "잭 리처"에서의 볼륨감이 화면에서 도드라지지 않는 탓에 작중 표현된 대로 치명적인 매력의 소유자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녀에게 집착하는 닐 패트릭 해리스 역시 게이라는 것을 거의 전 세계가 다 아는 상황에서 한 여자에게 집착한다는게 별로 어울리지 않았고요.
그래도 간만에 본 웰 메이드 범죄 드라마임에는 분명합니다.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영화답게 러닝타임이 두 시간을 훌쩍 넘지만 꽉 짜여진 탄탄한 연출과 전개 덕에 시종일관 손에 땀을 쥐고 보았네요. 최근 보기 드문 완전범죄물이라는 측면에서도 좋은 점수를 줄 만 합니다. 별점은 3점입니다.
덧 1 : "Gone Girl"이 왜 "나를 찾아줘"로 번역된 것일까요? "Girl"이라는 미묘한 단어가 꽤 중요해 보이기도 하는데요.
덧 2 : 원작소설도 평이 좋은데 읽어봐야 할지는 잘 모르겠군요. 원작자인 길리언 플린이 영화의 각본까지 맡은 것으로 보아 원작에 굉장히 충실한 작품이라 판단되거든요. 고민 좀 해봐야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