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신 분들께 안내드립니다.

2010/12/15

재판원의 여신 ( ) 1~5 - 毛利 甚八 외: 별점 2점

'2010년 12월 15일 수정'

간만에 읽어본 일본 원서로, 모리 진파치가 글을 쓰고 “대사각하의 요리사”로 유명한 가와스미 히로시가 그림을 맡은 만화입니다. "재판원 제도", 즉 일본의 배심원 재판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실망스러웠습니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학습 만화의 성격이 강해 설명이 많고 지루합니다. 1권은 재판원의 선발 과정과 재판 절차 설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3권에서도 "사법의 독립"이라는 주제를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법정 장면과 무관한 설명이 길게 이어집니다.

둘째, 재판 과정에서 검사와 변호사의 두뇌 싸움이 아닌, 재판원(배심원)들의 심리적 딜레마가 중심입니다. 모르는 사람의 운명을 결정해야 하는 고민을 다루는 설정 자체는 흥미로울 수 있지요. 하지만 지나치게 반복되는 묘사와 느슨한 전개는 몰입을 방해합니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마라"라는 식의 논조도 공감하기 어려웠고요.

셋째, 독특한 법정 추리물이나 재판물을 기대했지만, 그런 요소는 전무합니다. 1권부터 4권까지 등장하는 세 건의 사건 중 두 건(1권의 ‘강도 살인사건’, 2권의 ‘강간 살인사건’)은 피고가 범행을 인정했기 때문에 추리, 재판물로서는 가치가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3~4권에서 피고가 무죄를 주장하며 결정적 단서가 재판 과정에서 밝혀지는 사건이 있기는 한데, 여전히 ‘심리 묘사’가 중심이라 기대를 충족시키지는 못합니다. 특히 경찰의 강압적인 수사에 의한 자백 외에 다른 증거가 없다는 설정도 설득력이 떨어졌고요.

게다가 제목이 "재판원의 여신"인 만큼 유우키 미치코 판사가 주요 역할을 할 것 같은데, 정작 이야기는 재판원들이 중심이고 유우키 판사는 단순한 해설자 역할에 그칩니다. 그녀 없이도 이야기가 충분히 성립되기에, 왜 집어넣었는지 의문이 들 정도였습니다.

심리 묘사 자체만 즐긴다면 어느 정도 기본적인 재미는 있으며, 재판 과정에 대한 디테일한 묘사는 볼 만하기는 합니다. 작화도 동적인 연출은 부족했지만, 쉽게 읽히는 스타일이라 일본어 원서임에도 비교적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고요. 그리고 5권에서 나온, "사형 판결을 내리더라도 실제 집행은 최소 10년이 걸릴 것이며, 그 안에 사형제도가 폐지될 것"이라는 법의 맹점을 이용한 설정은 흥미로웠습니다. 다만, 이 사건도 결국 사형 판결이 당연한 범죄에 대한 이야기였고, 재판원들의 심리적 고민을 반복적으로 부각시켜서 지루한건 어쩔 수 없었지만요.

결론적으로, 기대와는 많이 달랐고 기본 논조도 마음에 들지 않아 높은 점수를 주기는 어렵습니다. 별점은 2점입니다. 일본 재판원 제도에 관심이 많지 않다면 굳이 찾아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