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신 분들께 안내드립니다.

2015/04/23

조선의 풍경, 근대를 만나다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별점 2.5점

조선의 풍경, 근대를 만나다 - 6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엮음/채륜서

근대 조선 풍속에 대한 미시사 서적입니다. 저자가 "단국대학교 동양학 연구원"으로 되어 있고 각 항목별로 저자 이름이 명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근대 조선의 풍속"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연구원들이 작성한 글을 모아 놓은 듯합니다.

크게 세 단락으로 나뉘어 있어 단락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조선 풍속기, 하나_ 욕망의 늪에 빠진 근대"

기생, 패션, 화장, 성병 등을 다루는 단락입니다. 납이 포함된 박가분 이야기, 성병에 대한 풍속사적 접근 등 흥미롭지만, 다른 책에서 이미 본 내용이 많아 새롭진 않았습니다. 여성들을 피해자로 보는 시각은 일관되긴 하나, 시대적 배경은 고려했어야 합니다. 당시 시대로는 당연했던 일일 수 있으니까요.

두번째 "조선 풍속기, 둘_ 놀이의 이중성"

신식 장난감이 어떻게 도입되었고,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한 내용은 신선하고 재미있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에 실린 미두 관련 내용은 주제와 동떨어져 있으며, 특히 반복창(반지로)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책에서 반복되어 온 내용이라 시시했습니다.

세번째 "조선 풍속기, 셋_ 신풍속의 탄생"

신풍속이 어떻게 도입되고 정착했는지를 설명해 주는데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신식 결혼식, 벚꽃 심기, 어린이날 유래, 크리스마스 도입 등 다양한 사례가 소개되어 있고, 어린이날이 독립운동과 연계되어 일본에 의해 금지되었다는 사실 등 처음 알게 된 내용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나름대로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고, 연구원이 썼지만 논문체가 아닌 대중 친화적인 글이라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으며, 자료 출처가 명확하다는 장점은 큽니다.

하지만 근대 조선에 대한 미시사에 관심이 있어 이미 많은 책을 접해온 입장에서는 새로운 정보가 적고, 도판의 질도 평이했습니다. 또한 풍속이라는 테마와 어울리지 않는 이야기가 끼어 있다는 점, 대표적으로 두 번째 단락의 미두 이야기는 감점 요소입니다. 차라리 세 번째 단락처럼 조선에 없었던 신풍속에 집중했더라면 더 나은 구성이 되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별점은 2.5점입니다. 근대사, 미시사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지만, 유사 도서들과 비교할 때 특별히 두드러지는 부분은 없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