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신 분들께 안내드립니다.

2006/07/30

파프리카 - 쓰쓰이 야스타카 / 최경희 : 별점 2점

파프리카 - 4점
쓰쓰이 야스타카 지음, 최경희 옮김/영림카디널

지바 쥰코는 인간의 꿈을 화상처리할 수 있는 PT (Psycho Therapy) 기계 개발의 핵심 인물로 일본정신의학연구소의 이사이기도 한 사이코 테라피스트이다. PT 기계가 정신병 치료의 획기적 진보를 이룬 덕에 노벨상의 유력한 후보로까지 거론되었다. 
하지만 그녀는 과거 PT 기계의 개발 단계 시절, 개발 기기로 은밀한 꿈 치료를 진행했던 꿈탐정 "파프리카"이기도 했다. PT 기계의 이러한 사용은 불법이라 파프리카의 활동은 접은지 오래지만, 연구소 소장인 시마 소장의 부탁으로 그의 친구인 자동차 회사 중역 노세의 치료를 위해 몇년만에 활동을 재개하였다.
한편 연구소의 부소장 간 세이지로와 그의 심복이자 동성애 애인 연구원 오사나이는 그녀와 PT 기계 개발의 주역인 도키다, 시마 소장을 축출하여 연구소를 손에 넣을 계획을 꾸몄다. 계획은 도키다의 조수인 히무로를 끌어들이는데 성공하여 급진전하였고, 그들은 도키다가 비밀리에 개발하던 차세대 장치인 "DC미니"를 훔치는데 성공했다.

쥰코는 파프리카 활동으로 노세를 치료했고, 그의 친구인 경시감 고가와의 치료도 맡았다가 DC미니의 도난과 그 입수자를 눈치채게 되었다. 꿈 치료 중 끼어드는 다른 꿈의 존재때문이었다. 그녀는 하나 남아 있던 DC미니로 반격에 나섰지만, DC미니는 꿈의 관찰과 단순 개입만 가능했던 PT 기계와는 전혀 다른 부작용이 있었다. 결국 꿈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고 시공간이 뒤틀리는 무시무시한 전투가 벌어지는데다ㅣ...

오래전에 읽었었던 쓰쓰이 야스타카의 SF물(응?)입니다. 구입하고 읽은지는 몇 년 되지만, LINK님의 블로그에서 이 작품의 애니메이션을 콘 사토시 감독이 맡아 진행한다는 뉴스를 보고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사실 구입 당시에는 쓰쓰이 야스타카가의 추리물인줄 알았는데, 읽다 보니 전혀 다른 쟝르 문학이라 실망했던 기억이 나네요.

내용은 위에 요약해 놓긴 했지만 영화 "The Cell"과 상당히 유사하죠? 여자가 주인공이고, 꿈 속에 들어가 꿈의 내용에 개입한다는 것, 꿈이 현실에 영향을 미친다는 소재는 똑같습니다.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유일한 해결책이 "꿈에서 깬다"라는 것 역시 마찬가지고요. 물론 이 책은 90년대 초반에 나왔으니 이쪽이 원작이겠지요. 미국에서 베꼈는지는 모르지만...  
이러한 기발한 아이디어 외에도 정신병을 치료하기 위해 "꿈"의 해석을 진행하는 파프리카의 이야기는 많은 조사를 한 덕분인지 설득력이 넘칩니다. 때문에 연구소의 암투, 정신병을 감염시키는 간 세이지로 일당에 맞서는 파프리카의 활약이 맞물리는 중반부까지는 굉장히 흡입력있게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영화 The Cell보다 한 발 더 앞서나가 꿈이 현실에 영향을 미치며 스케일이 훨씬 커지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꿈과 현실을 뒤섞는 수준이었으나 기계의 효과가 극대화대고, 주변 인물들까지 영향을 받으면서 이야기가 걷잡을 수 없게 되거든요. 종국에는 현실 세계에 마수가 등장하여 사람들을 쳐부수는 만화같은 전개에 다다릅니다... 클라이막스에서 악마의 부하들이 도쿄에서 난동을 부리는 이야기는 설득력을 떠나 피식하게 만드는 수준이었어요. 연구소 소장 자리를 놓고 지옥이 열리다니.. 연구소 소장이 얼마나 땡보직이길래...

작가가 생각한 것은 많고, 보여주고 싶은게 많아서였을까요? 욕심이 과했습니다. 만화같은 이야기보다는 파프리카의 꿈 탐정 치료, 정신병을 감염시키는 악몽의 투사같이 꿈과 현실의 경계를 잘 조율하는 내용으로 디테일하게 전개해 나가면 더 좋았을 겁니다. 그래서 별점은 2점입니다. 권해드릴만한 작품은 아닙니다.

하지만 콘 사토시 감독의 영상화 이야기를 듣고보니 영상화하기는 괜찮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이 작품에서는 "꿈"의 세계를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감독의 전작에서 보여주었던 환상과 현실이 조합되는 장면이나 순간적으로 장면이 뒤바뀌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연출이 딱 들어맞는게 바로 "꿈"의 세계이기 때문이겠죠. 영상물에서는 여러가지 꿈의 비쥬얼을 극대화시켜 선사해 주길 기원합니다. 특히 거대한 일본 인형이 공간을 찢고 등장한다는 히무로의 악몽은 묘사가 너무너무 기대됩니다. 어처구니 없는 후반부의 괴수 대전쟁으로 가면 안될테고요.

마지막으로, 책은 94년에 이런저런 쟝르문학을 꽤 출간해 주었던 영림카디널에서 나왔는데 현재는 절판 상태입니다. 그래도 영화가 잘 되면 국내에 재 출간될지도 모르겠네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