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신 분들께 안내드립니다.

2015/02/12

능숙한 솜씨 - 피에르 르메트르 / 서준환 : 별점 2.5점

능숙한 솜씨 - 6점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서준환 옮김/다산책방


<하기 리뷰에는 반전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명의 매춘부가 엽기적으로 잔혹하게 살해된 범죄가 벌어진다. 사건을 맡은 베르호벤 반장은 2년전에 벌어진 다른 사건과의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아낸다. 그것은 현장과 시신에 가짜 손가락 지문이 남겨져 있었다는 것과 어떠한 이유도 찾아낼 수 없는 범행과정상의 디테일들. 우연히 이 디테일들이 모두 유명한 추리소설을 모방한 것이라는 것을 알아낸 베르호벤은 탐정문학 전문지 광고로 범인과의 접촉을 시도하는데....

간만에 읽은 최신 프랑스 추리 소설.
프랑스 추리소설들은 모리스 르블랑의 뤼뺑과 심농의 매그레 시리즈 외에는 딱히 취향이 아니어서 그닥 관심이 가지 않았고 제목과 표지도 왠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작품입니다. 이런저런 블로그 이웃과 커뮤니티의 호평이 아니었다면 절대로 읽을 일이 없었겠죠.

프랑스 소설답게 5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며 역시나 프랑스 소설답게 내용의 많은 부분을 주인공들의 심리묘사에 할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제가 여태까지 알고 있었던, 그리고 싫어 했던 프랑스 소설들의 단점과 동일하나 이 작품은 다행히 재미면에서는 나름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등장하는 잔인한 범행들이 워낙에 자극적이기도 하지만 추리소설 애호가라면 빠져들 수밖에 없는 설정, 즉 유명 작품들의 범행을 그대로 재현 했다는 점 때문에라도 흥미로울 수 밖에 없기 때문이에요. 뭔가를 따라한 연쇄살인이야 흔한 설정이기는 하나 추리소설을 따라했다는 설정은 처음 봅니다. 명작, 고전 취급을 받는 작품들을 모방했다고 하는데 제가 읽은 작품은 달랑 한 작품 밖에는 없기는 합니다만... 이런 명작, 고전 선정은 작중에 나오듯이 자의적인 판단이 기준이 될 수 밖에 없겠죠? 아울러 저는 수사물, 하드보일드보다는 고전 본격물 취향이니 아무래도 잘 맞기가 더욱 어렵지 않았을까.. 하는 말로 변명해 봅니다. 참고로, 작중 등장한 작품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브랫 이스턴 앨리스 <아메리칸 싸이코> - 작품 도입부에 소개된 두명의 여성을 엽기적으로 살해한 범죄의 원전.
제임스 옐로이 <블랙 다알리아> - 이전 여성 토막 살인사건의 원전
마이 셰발 / 페르 발뢰 <로제안나> - 역시나 기이했던, 이전에 벌어졌던 살인사건의 원전
윌리엄 매킬바니 <레들로> - 범인이 현장에 서명을 남긴 첫번째 사건의 원전.
에밀 가보리오 <오르시발의 범죄> - 범인이 소설을 따라 벌인 첫번째 살인.

이렇게 보니 제가 읽은 <블랙 다알리아> 말고 번역된 작품은 <아메리칸 싸이코>밖에 없군요. 못 읽은게 당연하죠...

여튼 이러한 애호가를 자극하는 설정외에도 놀라운 반전을 지니고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에요. 이야기의 거의 대부분 (1부 분량)이 사실은 범인이 쓴 소설이었다는 것이 밝혀지는, 일종의 서술 트릭이자 소설 속의 소설인 액자 소설같은 구성이 드러나는 반전인데 정말 생각지도 못했어요. 그다지 새로운 아이디어가 없을 것 같은 현대에서도 이런 아이디어를 가진 작품이 나오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뿐입니다.베르호벤이 말발을 대하는 태도 등을 통해 소설 속 인물들과 실존인물과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도 아주 절묘하고 말이죠.

그러나 설정과 이러한 놀라운 반전 트릭을 제외하고는 추리적으로는 높은 점수를 주기 어렵습니다. "추리"라는 것이 별로 등장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이유에요. 결국 범인이 기자 필리프 뷔송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은 순전히 우연에 불과하니까요. 발랑제르 교수와 통화하다가 우연히 얻은 정보가 없었다면 영원히 알아내지 못했을지도 몰라요. 아니, 최소한 아내가 죽을 때까지는 알아 낼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우연까지 예상해서 범인이 모든 것을 안배한 것처럼 전개되고 있다는 건 전혀 합리적이지가 않죠. 범인이 무슨 신도 아니고.... 이러한 우연, 그리고 범인의 안배를 제외하고는 사건 해결을 위해 노력한 베르호벤과 동료들의 수사는 모두 헛수고일 뿐이라 정말 명수사관이 맞는지 깊은 의문을 가지게 만듭니다.
범인이 유명한 추리소설들을 모방하여 범행을 저질렀다는 설정도 재미는 있고 시선을 사로잡는데는 충분히 성공적이나, 이러한 범행을 통해서 범인이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가 전혀 설명되지 않는 것은 확실히 문제라 생각됩니다. 아니 설명 되기는 하는데 작중 정신과 의사인 크레스트 박사의 말 - 사실은 미친게 아니다 -이 맞는 것인지, 아니면 독자가 범인의 편지 등을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것 - 제대로 미친 놈이다 - 맞는 것인지 도무지 모르겠어요.
또 작중 등장했던 괜찮았던 착안점, 즉 왜 <레들로> 사건은 실제로 스코틀랜드까지 찾아가 범행을 저질렀는데 다른 사건들은 프랑스에서 재현했는지? 에 대해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 등 떡밥 회수가 부실한 것도 조금 아쉬웠고요.

마지막으로 프랑스 소설다운 장황한 묘사가 많은 것도 마음에 들지 않은 점입니다. 갓 태어난 아기까지 참살한 필요 이상의 잔인한 묘사도 그렇지만, 유명 화가인 어머니의 임신 중 흡연으로 키가 145cm에 불과하다는 베르호벤의 설정과 그에 따른 묘사가 대표적이겠죠. 키가 작다고 해서 대단한 컴플렉스가 있는 것도 아니며 작품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는 부분도 없습니다. 그나마 덜 기형적인 툴르즈 로트렉의 창백한 복사판 운운하는 묘사처럼 독특한 캐릭터성을 부여 하기 위한 장치일 뿐이라 조금은 얄팍하게 느껴졌어요. 장님이지만 작품에서는 그닥 드러나지 않았던 맥스 캐러도스가 떠오르기도 하네요. 부하인 루이가 부유하다는 설정 역시 마찬가지로 디테일한 묘사를 통해 캐릭터들을 손에 잡힐듯 생생하게 그려 주는 것은 좋지만 이러한 만화 같은 설정이 과연 작품에 필요 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결론내리자면 별점은 2.5점. 추리 애호가를 위한 설정에 더해 읽는 재미도 괜찮고 독특한 반전의 가치는 높지만, 추리 소설로의 완성도를 높다고 하기는 애매했습니다. 그래도 베르호벤 시리즈는 이어지고 이 작품과도 연계성이 있다고 하니 후속작도 읽어는 봐야 겠네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