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신 분들께 안내드립니다.

2018/10/13

달팽이 더듬이 위에서 티격태격, 와우각상쟁 - 권오길 : 별점 3점


오랜 생물학 지도 경험이 있는 저자가 우리말 
속담, 고사성어, 관용구에 서린 생물들에 대해 쉽게 재미나게 이야기를 풀어놓은 책. 딸아이가 커가면서 속담에 관심을 많이 가지길래 저도 공부나 해 볼까 해서 구입하였는데 의의로 굉장히 재미있더라고요. 

속담, 옛말 자체는 잘 알지만 잘 몰랐던 등장 생물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주는 이야기들이 특히 재미있었는데요, 예를 들자면 "청출어람"이 "쪽빛"에 관련된 이야기라는건 누구나 알 겁니다. 하지만 쪽이 "상떡잎식물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풀로 동양에서는 남, 서양에서는 인디고라고 부르는 염료 식물이다. 천연 염료인 쪽은 석회와 잿물을 써서 산화, 환원 과정을 거쳐야 비로서 쪽빛을 얻을 수 있다. 자체에 방충, 방부 기능이 있다..." 는건 잘 몰랐는데 이를 상세하게 알려주는 식입니다. "결초보은"도 뜻은 누구나 아는 내용이지만 이 풀이 우리나라에서도 자라는 "그령" 이다!" 라던가 "부평초"가 우리가 흔히 보아온 "개구리밥" 이라는 것, "용 빼는 재주"의 용이 녹용을 뜻한다는 것 등도 처음 알았네요.

또 몰랐던 속담이나 옛 말을 접하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가물치 콧구멍이다" 라는 속담이 그러해요. "코빼기도 안보인다"는 뜻으로 가물치 콧구멍은 실제로 잘 보이지 않는다는군요. 아울러 우리의 민물고기 가물치가 흘러들어간 일본, 미국 등에서도 먹이사슬 최상단에서 다른 생물들을 압살하고 있다니 나름 자부심도 느껴집니다. 마찬가지로 제목에도 사용된 "와우각상쟁" 역시 처음 들은 말로 달팽이를 옛날에 그 느린 행동을 소에 빗대어 "와우"라고 불렀으며, 더듬이 넷이 서로 째려보고 다툰다고 생각하여 "와우각상쟁"이라는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별 것도 아닌 일로 집안, 식구끼리 다투고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네요.

유래를 처음 알게 된 옛 말도 있습니다. "뚱딴지 같은 소리"에서 뚱딴지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저는 처음 알았는데 '돼지감자'이며, 국화과 해바라기속에 드는 여러해살이 풀로 꽃, 줄기, 잎이 하나도 감자같지 않은데 감자 꼴의 덩이 뿌리가 달려있는 게 그 유래일 것이라고 합니다. 그야말로 엉뚱함 그 자체인 셈이죠. "호박꽃" 이 왜 박색의 대명사인지에 대한 유래도 재미있었어요. 옛부터 곡식을 심기 힘든 곳곳에 호박을 심어서 너무나 흔해 빠지게 꽃을 보게 된 탓이라고 합니다. 호박꽃이 못나 보이지 않아 유래가 항상 궁금했었는데 속이 다 시원하네요.
그 외에도 "꿩 대신 닭" 은 평양 전통 요리 꿩만둣국을 만들 때 만두소를 꿩고기로 채워야 하지만 구하기 힘들어 닭고기로 채운 것이 유래이며, "밴댕이 소갈머리"의 유래도 밴댕이가 그물에 걸려 잡히면 스트레스를 못 이기고 파닥파닥 날뛰다가 금세 제 풀에 죽어버리는 습성에서 비롯되었다는군요. 몸집에 비해 내장이 별로 없어서 해부학적으로도 틀린 말이 아니라는 깨알같은 해석도 재미있었어요.
사마귀 이야기에서 사마귀의 다른 말인 '버마재비'의 유래는 '무서운 범 아저씨', 즉 '범 아재비'를 소리나는대로 적었다던가 "옹고집"은 아주 고집스러운 매에서 따온 "응應 고집"에서 생겨났다는 등의 어원 유래도 인상적이었고요.

먹을 수 있는 생물의 경우 요리법 등에 대해서도 짤막하게나마 소개해 주는 점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랴" 편에서 된장 담그기에 대해 아주아주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 처럼 조리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이야기처럼 말이죠. 앞서 설명드린 밴댕이 이야기에서 "오뉴월 밴댕이"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오뉴월 제철에는 밴댕이 회가 정말 맛있다는데 한 번 먹어보고 싶어집니다.
요리, 맛에 대해 나름의 이론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가재는 게 편" 에서 똑같은 종이라도 민물 것 보다 바다의 것이 더 맛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 그러합니다. 바다 생물은 고농도의 짠물에 살기 때문에 몸에 단백질, 지방과 같은 양분을 많이 저장해 놓아야 하기 때문이라네요.

이렇게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이 가득한데 아쉬운 부분도 없지는 않습니다. 첫 번째는 교양 서적이라기 보다는 저자의 추억이 담뿍 담긴 에세이 형식으로 쓰여졌다는 점입니다. 쉽게 읽힌다는 장점은 있지만 교양, 과학 서적으로의 형식이 갖추어졌더라면 저같은 고연령 독자에게는 더 좋지 않았을까 싶어요. 지금은 손자에게 할아버지가 친절하게 설명하는 식이라 제가 읽기는 조금 거북한 면이 없잖아 있었습니다.
두번째는 도판이 부실하다는 점입니다. 위에 소개해드린 생물들의 도판이 멋스러운 일러스트, 최소한 디테일한 사진으로라도 곁들여 졌더라면 정말 좋았을텐데 몇몇 '삽화' 가 전부입니다. 공들여 그린 그림이지만 아동용 도서 삽화 수준이라 생물에 대해 디테일하게 알려주는 도판이라고 보기는 힘들어요. 

그래도 별점 3점은 충분한 멋진 책입니다. 제. 딸 아이가 조금만 더 크면 권해주고 싶을 정도이며, 후속권인 <<소라는 까먹어도 한 바구니 안 까먹어도 한 바구니>> 를 바로 구입할 정도로 말이죠.
그리고 저자의 글을 토대로 최불암 할아버지가 옛 말과 생물을 소개하는 탐방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보아도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느 지역에 가서 특정 옛말, 속담에 관련된 이것저것을 찾아보고 마지막에 해당 소재를 재료로 한 음식을 먹는 형식이라면 재미있지 않을까 싶어요. 최소한 저는 보고 싶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