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득 형사와 이동혁 형사는 부패 경찰로 담당 구역에서 돈을 갈취해 왔다. 김명득 형사는 딸아이 수술비 마련을 위해서, 이동혁 형사는 도박에 빠져 거액의 빚을 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어느날, 두 형사는 중국인 조직이 현금을 옮기는 정보를 우연히 입수했고, 김명득 형사는 이동혁 형사를 설득해 돈 강탈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이동혁 형사의 지인 박정훈 순경도 끌어들였다.
조직이 운반하던 돈은 손에 넣었지만, 총격전이 벌어져 중국인 조직원들과 박정훈 순경, 그리고 광수대 형사가 죽은 탓에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되었고, 두 부패 형사가 꾸민 일이라는게 중국 조직원과 광수대 팀장 모두에게 알려지고 마는데...
넷플릭스에서 한동안 1위를 하던 한국 영화입니다. 나름 기대감을 가지고 관람했습니다.
배우들의 연기는 눈에 띄었습니다. 거칠고 냉소적인 부패 형사 김명득 역을 맡은 정우는 외형과 분위기 모두 잘 어울렸고, 김대명은 자신의 선한 인상을 잘 살려서 조금 어리숙하면서도 적당히 타락한 이동혁을 입체감있게 그려냅니다.
하지만 이야기와 연출은 모두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합니다. 전개가 식상하고 허술한 탓이 큽니다. 중국 조직의 검은 돈을 노리는 부패 형사 컴비의 범죄 계획이 영화의 중심축인데 이를 위한 치밀한 두뇌 싸움이나 전략적인 모습은 거의 그려지지 못하거든요. 범죄 장면은 계획이라기보다 단순한 강탈에 가깝고, 그마저도 긴장감이나 디테일이 부족해서 장르적인 재미를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이래서야 케이퍼 무비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사건 수사 과정도 매우 단순합니다. 두 형사가 사건을 맡게 된 상황이라서, 조여오는 수사망 속에서 자기들의 범행을 숨기며 탈출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어야 했는데 그런 부분은 전무한 탓입니다. 중국인 조직과 광수대가 두 형사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전개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연과 운에 의지할 뿐이니까요. 그래서 극적인 긴장감을 느낄 여지도 없습니다. 액션도 눈에 띄게 부족해서 범죄물에서 기대할만한 박진감 넘치는 장면은 거의 없습니다.
광수대 팀장 오승찬도 이 돈을 노리고 있었다는 반전도 수많은 작품에서 반복되어온 장치라 신선함이 부족합니다. "범죄도시 2"와도 별로 다를게 없지요. 김명득이 오승찬의 협박에 굴복하지 않는 이유도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아 답답했고요.
클라이막스에서 돈을 숨겨둔 비닐하우스에 중국 조직과 사건의 흑막인 광수대 팀장이 모두 출동해 모두를 일망타진한다는 결말은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로 뻔합니다. 특히 범행에 총이 사용되었음에도, 중국인 조직원들이 형사들에게 총이 있을거라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등 허술한 부분도 많고요. 김명득은 죽고, 살아남은 이동혁이 김명득의 딸을 데리고 호주로 가서 새 인생을 산다는 마무리도 별로였습니다.
그래서 별점은 1.5점입니다. 뚜렷하게 기억에 남는 장면도, 인상적인 이야기 전개도 없었고, 전반적으로 구성이 허술해 아쉬움만 남습니다. 코로나 시기 촬영 완료 후 창고행이었다가 작년 극장 개봉하여 폭망했다고 알고 있는데, 창고행과 흥행 실패 모두 납득이 가는 졸작입니다. 구태여 찾아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