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주신 분들께 안내드립니다.

2016/11/04

롱 워크 - 스티븐 킹 / 송경아 : 별점 2.5점

롱 워크 - 6점
스티븐 킹 지음, 송경아 옮김/황금가지

레이 개러티는 '롱 워크' 대회에 참여한다. 100명의 도전자가 몇가지 조건에 따라 걷기 시작하여 최후의 1명만 살아남아 우승하여 모든 것을 거머쥐는 대회. 개러티는 피터 맥브라이스, 올슨, 베이커, 하크니스 등 여러 친구들의 죽음을 목격하면서도 살아남기 위해 걷기를 계속하는데...

'통령'이라는 존재가 지배하는 군사국가 하에서 벌어지는 생존 경쟁 게임을 그린 작품으로 호러계의 마에스트로 스티븐 킹이 고등학교 때 쓴 장편. 여러가지 이유로 리처드 바크만이라는 필명으로 발표되었었다고 합니다.

어머무시한 몰입감만큼은 정말 최고인 작품으로, 430여페이지에 달하는 대장편인데 한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놓기 어려운 흡입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굉장히 드라마틱한 것도 아니고, 어떻게 보면 사람들이 하나씩 죽어나가는 내용밖에는 없는데 디테일한 상황, 심리묘사와 명확한 캐릭터 설정 등을 통해 재미를 극대화하는 능력은 역시나 스티븐 킹다왔습니다. 이 지옥을 '마치 셜리 잭슨의 단편 속을 걸어가고 있는 것 처럼 느꼈다.'와 같이 묘사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죠. 병에 걸리거나, 사고가 일어나거나, 정신이 나가거나, 아니면 심지어 '성욕' 때문에 한명 한명 쓰러져나가는 과정의 긴장감은 정말이지 장난이 아닙니다.
이러한 묘사와 함께 '롱 워크'에 대한 탄탄한 설정 역시 볼거리입니다. 어떻게 먹고 배설하는지, 게임에 설정되어 있는 제약 사항이 무엇인지 등 디테일이 빼어나서 읽는 재미를 더합니다.

하지만 인터넷 등을 통해 익히 알려진 만큼의 걸작이냐 하면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이야기에 드라마라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롱 워크에 참여한 100명의 워커가 길을 떠나고 하나씩, 하나씩 길 위에서 죽어나가다가 한 명이 살아남아 우승한다는 것이 전부거든요. '롱 워크' 중 경쟁을 통한 긴장감을 만들었어야 했는데 게임의 규칙 - 워커들끼리의 다툼, 방해는 금지되어 있고 그냥 걷기만 가능 - 때문에 등장인물들간의 알력은 말싸움으로만 일어날 뿐입니다. 또 등장인물들 모두 너무나 착하고 짧은 시간이지만 생사를 넘나드는 경험을 같이한 탓인지 어떻게든 동료들을 도와주지 못해 안달난 모습만 보여주고요. 덕분에 스크램의 최후와 같이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지키려는 가슴 뭉클한 장면도 등장하기는 하지만 이래서야 너무 심심하죠. 그나마 끝판왕격인 스테빈스가 마지막까지 생존하여 주인공 개러티와 경쟁하기는 하는데 마지막 한 순간에 무너진다는 결말은 시시하기 짝이 없습니다. 한마디로 '기-승-전-결'의 이야기 구조가 아니라 '기-승-승-승.... 아주 약간의 결' 구조로 극적인 맛을 느끼기는 힘듭니다. 이렇게 그냥 등장인물들의 죽음에 대한 자극적인 묘사가 전부라면 포르노와 별로 다를게 없죠. 자극적 묘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문학적인 성취를 보여준다는 점을 차이점이라고 주장한다면, 거장이 찍은 포르노와의 차이는 과연 무엇일까요?
'롱 워크' 만으로 드라마가 어려웠더라면 '롱 워크'에 얽힌 비밀이 밝혀진다던가 - 스테빈스가 통령의 사생아라는 설정이니 이런 이야기를 집어 넣기 용이했을텐데 말이죠- 아니면 개러티가 우승한 이후 또다른 무언가가 벌어진다던가 - 우승자가 다음 통령이 된다던가, 소문처럼 우승해도 바로 죽인다던가... - 하는 또다른 거대한 이야기라도 필요했다 생각됩니다.

아울러 무한 경쟁 사회에 내몰린 현재의 학생들, 직장인들을 연상케 하는 설정 역시 몰입을 도와주기는 하나 현재의 학생들과 직장인들은 모두 상대방을 밟고 일어서야 내가 살아남아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금수저', '흙수저' 처럼 태어날 때 부터 출발선이 다르다는 인식은 이미 상식이 되어 버린지 오래고요.
<<롱워크>>처럼 가혹하지만 참가자 모두에게 공정한 출발선과 경쟁 기회를 준다면, 패배했을 때의 벌칙이 가혹하더라도 오히려 작금의 현실보다는 낫다 생각되기에 더욱 씁쓸하네요.

그래서 결론내리자면 별점은 2.5점. 몰입감은 작가 명성에 값하나 목숨을 걸고 상대방을 이겨야 하는 상황에서 피어나는 우정과 인간미, 최선을 다해 공정하게 노력을 경주하는 순진한 사고방식은 90년대에 유통 기한이 만료된 것이죠. 작가가 고등학생 때 썼다는 것이 이해가 될 정도에요.
숱하게 좌절한 뒤 이 아이디어로 글을 썼다면 아마 지옥도를 그려 내었을것 같은데, 그런 점에서 고등학생 리처드 바크만이 아니라 성공한 호러 소설가 스티븐 킹이 쓴 <<롱 워크>>를 읽고 싶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