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근무하던 학교에서 사고로 딸을 잃은 교사가 봄방학을 맞아 마지막 조회에서 학생들 앞에서 충격적인 사실을 밝혔다.
"내 딸을 죽인 사람은 우리 반에 있습니다"…
2008~2009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미나토 가나에의 연작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 영화를 보기 전에 가장 궁금했던 것은, 화자를 바꾸어가며 1인칭 시점으로만 진행되는 원작을 영상으로 어떻게 구현했을까?라는 점이었습니다.
그러나 썩 잘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네요. 이야기들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았고, 시점과 시간을 뒤섞은 연출은 혼란스럽기만 했거든요. 과도한 음악 사용 역시 효과적이지 않았고요.
또한, 원작과 동일한 문제점이 그대로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반부 각색은 오히려 더 황당하게 변해버린 점도 아쉬웠습니다. 기껏해야 중학생인 슈야가 외부에서 핸드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폭탄을 제조한다? 여전히 설득력이 없습니다. 그나마 이 정도에서 끝났다면 원작 수준의 깔끔함은 유지할 수 있었겠지만, 이어지는 결말 — 모든 것을 잃은 슈야 앞에 모리구치 유코가 등장하는 장면 — 은 불필요한 사족에 불과했습니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딱 어울리더군요. 이런 점에서는 상상력을 더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소설이라는 매체의 힘이 새삼 대단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물론, 원작을 뛰어넘는 영상미를 선보인 장면도 있기는 합니다. 학급 붕괴 분위기를 보여주는 슈야 반의 모습이나, 학급 친구들의 편지에서 "히토고로시 - 시네"를 끄집어 내는 장면은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원작에서도 가장 뛰어난 부분이었던, 그리고 연작의 시작이기도 한 여교사 유코의 이야기 "성직자"를 영화화한 초반 30분은 정말 최고였어요. 마츠 다카코의 보기 드문 쿨한 악녀(?) 연기 덕분에 굉장한 몰입감과 재미를 선사해 주는 덕분입니다. 마츠 다카코가 이렇게 좋은 배우로 성장했다는건, "롱 바케이션" 때부터의 팬으로서 무척 감격스럽네요. 후반부에서도 마츠 다카코가 등장하는 장면들은 상당한 무게감을 전해주었고요. 다만, 이야기 후반부로 갈수록 슈야에게 비중이 지나치게 쏠린 점은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습니다. 원작만큼의 몰입감을 주지 못하는데, 차라리 연작 단편 하나하나를 30분 분량으로 보다 원작에 충실하게 영상화했더라면, 아니면 마츠 다카코 중심으로 완전히 각색했더라면 더 좋은 작품이 되었을겁니다. 별점은 2점입니다. 원작을 읽지 않으셨다면 모르겠지만, 이미 원작을 접하셨다면 굳이 찾아보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